1. 중위소득이란?
아파트 청약,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다양한 복지 지원 정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위소득.
"중위소득 몇 퍼센트 이하 가구만 신청 가능" 같은 문구를 본 적이 있을 텐데요.
아파트 청약 등 모집공고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위소득과 그 퍼센트(%)는 다양한 복지 및 주거 지원 프로그램의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하며, 매년 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2.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월) |
1인 가구 | 2,392,013원 |
2인 가구 | 3,932,658원 |
3인 가구 | 5,025,353원 |
4인 가구 | 6,097,773원 |
5인 가구 | 7,108,192원 |
6인 가구 | 8,064,805 |
3. 중위소득 퍼센트와 월 소득 계산 방법
중위소득의 특정 퍼센트는 해당 가구의 소득 수준을 파악하고, 지원 자격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중위소득 50% 는 해당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의 절반을 의미합니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해당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확인: 위 표에서 가구원 수에 맞는 중위소득을 찾습니다.
- 퍼센트 적용: 기준 중위소득에 원하는 퍼센트를 곱합니다.
*예시: 4인 가구의 중위소득 50% 계산
- 기준 중위소득: 6,097,773원
- 중위소득 50%: 6,097,773원 × 0.5 = 3,048,886.5원
따라서, 2025년 기준 4인 가구의 중위소득 50%는 3,048,887원입니다.
4. 중위소득 산정시, 세금 포함 여부
중위소득 산정 시, 세전 소득(총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즉, 세금이나 사회보험료 등이 공제되기 전의 총소득을 의미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통계에서 소득은 소득세와 건강보험료, 국민연금 기여금 등이 공제되기 이전의 금액을 말합니다.
5. 2025년 중위소득 퍼센트별 월 소득표
구원 수 | 30% 이하 | 50% 이하 | 60% 이하 | 80% 이하 | 100% (기준 중위소득) |
1인 가구 | 717,604원 | 1,196,006원 | 1,435,208원 | 1,913,610원 | 2,392,013원 |
2인 가구 | 1,179,797원 | 1,966,329원 | 2,359,595원 | 3,146,126원 | 3,932,658원 |
3인 가구 | 1,507,606원 | 2,512,677원 | 3,015,212원 | 4,020,282원 | 5,025,353원 |
4인 가구 | 1,829,332원 | 3,048,886원 | 3,658,664원 | 4,878,218원 | 6,097,773원 |
5인 가구 | 2,132,457원 | 3,554,096원 | 4,264,915원 | 5,685,820원 | 7,108,192원 |
아파트 청약 기준 등에 있어 해당 자료를 통해 빠르게 모집 기준에 적합한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중위소득 활용가능 사례
(1) 복지정책 및 지원금 지급 기준
(2) 아파트 청약 가점제 및 지원 대상 기준
(3) 국민건강보험료 감면 기준
(4) 교육비 지원(국가장학금, 초중고 교육급여) 신청 기준
(5) 국민임대 및 공공임대아파트 신청 조건
'돈 버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여행 필수템 전역증 발급 지참 후 다양한 할인 혜택 받기, 밀리터리디스카운트 (2) | 2025.02.24 |
---|---|
음식점 카페 아르바이트를 위한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총정리 (0) | 2025.02.24 |
교통사고 합의금 산정 기준 및 요건 정리, 합의금 신청절차 완벽 가이드 (0) | 2025.02.23 |
전세사기 당했을때 대처방법 총정리 전세사기피해자 행동요령 (0) | 2025.02.23 |
네이버 포인트로 대한항공마일리지 적립 전환 방법 확인(항공권할인 및 좌석업그레이드)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