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집 청소하다 보면 구석에 굴러다니는 페인트통, 다 쓴 형광등, 빈 가스통, 오래된 건전지들이 꼭 하나씩은 나오게 됩니다.
문제는 이걸 어떻게 버려야 할지 몰라서 그냥 일반쓰레기에 넣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물건들은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화재·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반드시 ‘제대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품목별로 정확한 배출 방법과 주의사항을 정리해드립니다.
1. 페인트통
✅ 내용물이 남아 있는 경우
- 액체 상태의 도료는 ‘위해 폐기물’로 분류되어 일반 쓰레기로 버릴 수 없습니다.
- 남은 페인트는 신문지에 흡수시켜 굳히거나 햇빛에 말려서 고체화한 후 처리합니다.
✅ 내용물이 마른 경우
- 안에 내용물이 모두 마르고 통만 남았다면 캔류로 분리배출이 가능합니다.
- 스프레이형 페인트는 잔여 가스를 제거한 뒤 구멍을 내고 캔류로 배출합니다.
📌 주의사항
- 내용물 있는 상태로 배출하면 과태료 부과 및 환경오염 우려
- 일부 지자체는 폐도료 전용 수거를 운영하니 해당 구청에 문의
2. 가스통(부탄가스, 캠핑용 가스 등)
✅ 처리 방법
- 가스통을 완전히 비운 뒤, 펀처(구멍 뚫는 도구)를 이용해 통에 구멍을 냅니다.
- 가스를 제거한 후에는 캔류로 분리배출하면 됩니다.
- 캠핑용 대형 가스통의 경우, 제조사나 판매처에 반납하는 방식도 활용 가능합니다.
📌 주의사항
- 가스가 남은 채 버리면 쓰레기차 압축 과정에서 폭발할 수 있음
- 가스통을 절대 화기 근처에서 열거나 버리지 말 것
3. 형광등 및 전구
✅ 처리 방법
- 형광등과 전구는 수은 등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일반 쓰레기로 배출하면 안 됩니다.
- 아파트, 동주민센터, 학교 등에 설치된 폐형광등 수거함을 활용하세요.
- 단독주택 거주자는 지자체에 수거 요청하거나 환경센터에 직접 방문해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깨진 형광등은 신문지로 감싸고 투명 비닐에 넣어 분리해 배출
- LED 전구도 일반쓰레기 아님, 전용 수거함 활용 권장
4. 폐건전지
✅ 처리 방법
- 폐건전지는 중금속이 포함된 유해 폐기물로,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됩니다.
- 주민센터, 아파트 관리사무소, 대형마트 내 전용 수거함에 배출합니다.
- 충전식 배터리(리튬이온 등)는 분리배출 표시가 있는 수거함에 따로 배출해야 합니다.
📌 주의사항
- 소각 시 중금속 유출로 대기오염 유발
- 스마트폰, 전자담배 배터리 등은 ‘폐휴대폰·전자기기’ 수거함 이용
5. 정리 요약 표
품목 | 배출 전 처리 방법 | 배출 장소 |
페인트통 | 내용물 비우고 완전히 마른 후 캔류 배출 | 금속류, 특수 수거 |
가스통 | 가스 완전 배출 후 구멍 뚫고 캔류 분리 | 캔류 or 반납 |
형광등 | 깨지지 않게 포장 후 수거함 배출 | 주민센터, 아파트 |
폐건전지 | 수거함 또는 대형마트에 반납 | 폐건전지 수거함 |
이 네 가지는 한 번 잘못 버리면 환경과 사람 모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험 폐기물입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올바른 방법으로 처리해야 내 집과 동네, 그리고 지구가 더 안전해집니다.
반응형
'잡학다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봄맞이 여행, 충주 수안보 온천제 행사 일정, 프로그램, 주차정보 안내 (2) | 2025.03.24 |
---|---|
임신초기 몸에 좋은 영양제와 몸에 안좋은 영양제 구분 섭취 방법 (5) | 2025.03.23 |
국민연금 개혁안 최종 합의로 본 연금제도 변화와 근로자들의 분노 (2) | 2025.03.20 |
아이폰 속도 상향 및 최적화 설정 13가지 방법 가이드 (1) | 2025.03.15 |
다이어트 비만 치료제 위고비 가격과 처방 병원은? (5)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