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읽는 가장 빠른 창(窓), 모든 정보가 한 곳에!

Get all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you need

돈 버는 생활정보

사례로 보는 전세사기 피하기 위한 최소한의 확인 및 체크리스트

why2story 2025. 3. 25. 13:16
반응형

전세사기

 

전세 계약은 많은 사람들이 목돈을 투자하는 중요한 계약입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깡통전세, 이중계약, 보증금 미반환 등의 사기 피해가 급증하면서

'계약 전 확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습니다.

실제 피해자들은 대부분 ‘설마 나한테까지’라는 생각으로 시작했지만, 계약 한 장에 수천만 원에서 억대 보증금을 잃게 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전세 사기를 피하는 법을 항목별로 정리하고,

사전에 어떤 점들을 체크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실소유자 여부 확인하기

전세사기사례

 

▶ 사례
서울에서 전세 계약을 한 A씨는 계약서를 쓸 당시 ‘중개사가 대신 한다’는 말만 믿고 집주인을 직접 만나지 않았습니다.

이후 등기부등본에 등록된 소유자는 타인이었고, 집은 이미 근저당으로 잡혀 있는 상태였습니다.

결국 보증금 전액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예방법

  • 계약 전에는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발급해 실소유자와 계약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소유자 명의와 계약서상 임대인이 일치하는지, 대리인 계약 시 위임장 원본 및 인감증명서를 요구해야 합니다.

2.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필수

전입신고

 

 사례
전입신고를 미룬 B씨는 집주인이 해당 집을 담보로 대출받은 뒤 경매로 넘어가면서 보증금을 한 푼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

선순위 채권자가 우선 변제권을 가져갔기 때문입니다.

 

 예방법

  • 계약 당일 바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야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생깁니다.
  • 확정일자는 주민센터 방문 외에도 정부24 온라인 신청으로도 가능합니다.

3. 선수위 보증금, 근저당권 확인 필수

전세사기수법

 

 사례
C씨는 보증금이 시세보다 조금 저렴하다는 이유로 계약했지만, 알고 보니 이미 선순위 전세 세입자가 존재하고 있었고,

해당 세입자보다 늦게 입주해 전액 손해를 봤습니다.

 

 예방법

  • 등기부등본을 통해 근저당권 설정 금액과 순위를 확인해야 합니다.
  • 보증금이 집 시세 대비 얼마까지 안전한지도 분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선순위 채권 합산이 집 시세의 60%를 넘으면 위험합니다.

4.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필수

전세보증금반환

 

 사례
전세 기간이 끝나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자, D씨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에 가입되어 있던

덕분에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해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었습니다.

 

 예방법

  • HUG(주택도시보증공사)나 SGI서울보증에서 제공하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상품에 가입하세요.
  • 조건에 따라 가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계약 전 미리 보증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5. 계약서 반드시 직접 확인하고 읽는 법 알아 두기

전세사기피해사례

 

 사례
중개사가 작성한 계약서에 임대인의 은행 대출 사실이 누락돼 있어, 계약 이후 추가로 근저당이 잡혔습니다.

E씨는 내용 설명을 듣지 못했고, 확인도 하지 않았습니다.

 

 예방법

  • 계약서 내용을 반드시 직접 읽고, 이해가 안 되면 질문하세요.
  • ‘특약사항’에는 ‘계약 체결 당시 등기부상 선순위 권리가 없음을 확인함’, ‘보증금 반환 지연 시 지체상금 청구 가능’ 등을 추가하면 안전장치가 됩니다.

6. 중개사무소 등록 여부 및 책임 보험 확인

전세사기피해신고

 

 사례
F씨는 무등록 중개사무소에서 계약을 진행했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떠한 법적 보호도 받지 못했습니다.

 

 예방법

  • 부동산 중개사는 반드시 공인중개사 자격을 보유하고, 개업 등록된 사무소여야 합니다.
  • 한국공인중개사협회 홈페이지에서 등록 여부와 책임보험 가입 여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전세 사기는 단순한 ‘운 나쁜 일’이 아닙니다. 정보를 아는 사람은 피해를 피하고,

모르는 사람은 당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아래는 전세 사기를 피하기 위한 핵심 요약입니다.

  • 등기부등본 확인 → 실소유자와 계약
  • 계약 당일 전입신고 + 확정일자 필수
  • 선순위 보증금, 근저당권 꼼꼼히 체크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고려
  • 계약서는 반드시 직접 확인 + 특약사항 넣기
  • 공인중개사 자격 및 사무소 등록 여부 확인

싸다 이유 하나만으로 계약하지 마세요. 보증금이 수천만 원에서 억대에 달하는 만큼,

모든 정보를 체크하고 꼼꼼히 비교해야 집처럼 소중한 전셋집을 안전하게 지킬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