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읽는 가장 빠른 창(窓), 모든 정보가 한 곳에!

Get all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you need

돈 버는 생활정보

목돈 모으는 방법 CMA 통장 RP형, 종금형 차이 자세히 알아보기

why2story 2025. 3. 31. 14:56
반응형

CMA통장

1. CMA 통장이란?

CMA통장추천

 

CMA(Cash Management Account) 통장은 증권사나 종금사(종합금융회사)에서 개설할 수 있는 통장으로,

입금만 해도 이자가 붙는 금융 상품입니다.

일반 은행의 보통예금보다 금리가 높고, 자금이 MMF, RP 등 금융상품에 자동 투자되는 구조입니다.

  • 수시입출금 가능: 언제든 돈을 넣고 뺄 수 있음
  • 이자가 매일 계산되어 붙음 (일 복리 형식)
  • 체크카드, 이체 기능 등 일반 통장처럼 사용 가능

CMA 통장의 장점

  1. 예금처럼 안전하면서도 더 높은 금리
  2. 단기 자금 관리에 유리
  3. 현금처럼 유연하게 운용 가능

2. CMA 통장 종류

CMA통장개설

 

CMA는 운영 방식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CMA-RP형 (Repurchase Agreement, 환매조건부채권형)

  • 가장 일반적인 CMA 통장
  • 고객의 돈을 국공채 같은 안전한 채권에 단기 투자하고, 일정 기간 뒤 다시 사들이는 구조 (환매 조건)
  • 원금 보장은 아니지만 거의 원금 손실 가능성 없음 (안전 자산 투자)
  • 수익률: 고정 금리형, 지금은 2% 내외 수준

RP형은 증권사 CMA 통장의 표준형
자산이 어디에 운용되는지 명확히 표시되어 있고, 안정성 중시

 

2️⃣ CMA-종금형 (종합금융회사형)

  • 종합금융회사가 직접 운용하는 방식
  • 원금과 이자에 대해 예금자 보호가 적용됨 (5천만 원 한도)
  • 수익률은 RP형보다 조금 낮은 편
  • 단기 예금에 가까운 성격

예금자 보호를 원하는 사람에게 적합
다만 종금형 CMA 제공하는 회사는 점점 줄어드는 추세

 

RP형 vs 종금형 비교표

항목 CMA-RP CMA-종금형
운용 방식 환매조건부채권 투자 종합금융회사가 자체 운용
수익률 비교적 높음 (최근 기준 2% 안팎) 상대적으로 낮음
예금자 보호 불가 (원금 거의 안전하나 보장 없음) 가능 (5천만 한도)
운용 주체 증권사 중심 종금사 중심
활용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 현재는 일부 종금사만 가능

 

-> 안정성과 예금자 보호를 중시하는 분: 종금형 CMA

-> 조금이라도 높은 수익률을 원하는 분: RP형 CMA

-> 단기 자금을 유연하게 굴리고 싶은 분: 둘 다 가능하나, 대부분 RP형이 더 일반적

 

3. CMA 통장 추가 유형 정리

종류 정식 명칭 운용 방식 예금자 보호 수익률
1. RP 환매조건부채권형 국공채 채권에 투자 일정 기간 재매수하는 조건으로 운영 보통 2% 내외
2. 종금형 종합금융회사 예금형 종합금융회사의 예금자산으로 운영 (5천만 한도) 상대적으로 낮음
3. MMF 머니마켓펀드형 단기금융상품(콜론, CP, 국공채 ) 투자하는 펀드 변동 수익률 (펀드 수익률에 따라 다름)
4. 발행어음형 자기자본으로 단기어음 발행하여 자산 운용 비교적 높은 고정금리 제공  

 

3. MMF형 (Money Market Fund형)

  • 고객의 자금을 MMF(머니마켓펀드)에 자동 투자
  • MMF는 초단기 국공채, CD, 기업어음(CP) 등에 분산 투자하는 저위험 펀드
  • 수익률은 변동형이고, 자산운용사의 펀드 성과에 따라 달라짐
  • 예금자 보호는 불가하지만 일반적인 RP형보다 조금 더 공격적 운용 가능

장점: 분산투자, 유동성 높음
단점: 원금 보장 X, 수익률 변동

 

4. 발행어음형 (단기어음형, CMA Note형)

  • 증권사가 자체 발행한 단기어음(기업의 차입증서 등)에 투자하는 구조
  • 운용 안정성은 높지만, 예금자 보호는 안됨
  • 보통 고정금리로 제공되며, RP형보다 수익률이 높게 책정되는 경우 많음
  • 일부 증권사(CIB 인가 받은 곳)만 취급 가능 (예: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장점: 고정 수익률, 비교적 높은 금리
단점: 원금 비보장, 상품 제한

반응형